※ 본 홈페이지는 Chrome, Firefox에 최적화되어있습니다.

메디치교육센터

News&Event

슬기로운 취준생활

2022년 채용트렌드 메디치교육센터 2022.02.07 조회:2469
1. 디지털 채용의 가속화: MZ세대를 위한 디지털 채용 전형의 증가
  - 가상공간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채용설명회와 신입사원 교육을 진행
  - SNS 라이브 방송을 통해 현직자와 실시간으로 소통 가능한 채용설명회 개최
 
* 기업의 디지털 채용
  - LG디스플레이: 국내 4개 사업장을 구현한 메타버스 교육장에서 신입사원 교육
  - 롯데백화점: SNS 라이브 방성 채용설명회에서 현직자와 소통
  - SK텔레콤: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1:1 채용 상담
  - 로레알 코리아: 채용전환형 인턴십 채용 시 90초 내외의 자기소개 영상제출
 
* 기업의 유튜브 채널 활용
  - 삼성전자 반도체: 채용설명회와 반도체 지식, 직무별 직원일과 등 공개
  - SK Careers: 채용정보, 기업탐방, 직무소개, 모의면접, 직무별 직원 일과 등 공개
  - CJ채용: 채용설명회와 자기소개서 작성팁, 면접팁, 직무소개 등 공개
  - 롯데 채용(엘리크루티비): 채용정보, 직무소개, 면접팁, 직원일과, 기업 복지 등 공개
  - 현대자동차 채용(HTMI): 채용설명회, 직무소개 등 공개
  - 포스코 TV: 채용정보, 취업준비팁, 직무별 직원일과 등 공개
  - 한국전력 KEPCO: 채용설명회, 채용정보, 직무소개 등 공개
 
 
2. 하이브리드 채용
  - 대면 채용방식과 비대면 채용 방식이 결합된 형태의 채용프로세스
  - 온라인 적성검사, AI검사(AI역량검사), 화상면접 등 비대면 방식 활용
  - 비대면 채용의 장점: 소요시간 및 비용절감, 장소의 제한 없이 인재선발
 
* 하이브리드 채용 예시
  - 한국남부발전: 신입 및 별정직 채용 시 1차 대면, 2차 온라인 진행
  - BGF리테일: 신입채용 시 AI역량검사와 1차 면접은 온라인, 현장실습은 대면으로 진행
  - 롯데그룹: 신입채용 시 롯데적성검사와 L-TAB검사, 인성면접은 온라인, 역량면접 및 PT면접은 대면 진행
  - 한화시스템: 채용설명회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
 
* 비대면 면접준비TIP→AI모의면접 참여
  - AI면접 솔루션 제공업체를 통해 사전연습(AI면접진행 기업 역시 체험테스트 서비스 제공)
  - AI테스트를 통해 평소 말투, 표정, 제스처 등 습관을 미리 파악하여 면접 시 감점이 될 수 있는 습관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연습
 
* AI면접 및 화상면접 무료 체험사이트
  - 서울시 AI면접체험: 서울시 거주 청년(만 15세~39세 이하) 1만명 대상
  - 잡아바: 회원가입 후 누구나 AI면접 참여가능
  - 꿈날개: 화상면접 신청 후 모의면접관과 일정 조율하여 화상면접 진행 및 실시간 코칭
 
 
3. 실무형 인재: 직무적합성 우수 인재
  - 상황에 따라 필요한 인재를 바로 채용할 수 있는 수시채용이 증가
  - 즉시 업무투입이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선호하며, 채용 과정에서 현직자와 해당 부서의 의견을 반영하여 직무 연관성을 중심으로 평가
 
* 직무역량 강화팁
  - 지원 직무와 관련된 경험과 경험을 통해 습득한 역량 등의 전문성을 제시(무분별한 스펙제시 X)
  - 지원 기업 사이트의 직무소개 및 채용공고에서 제시된 담당업무, 지원자격, 우대사항을 참고하여 본인의 경험 및 역량과의 접점을 정리 후 어필
  - NCS기반 채용 시 제시되는 직무기술서를 참고하여 직무 수행에 필요한 경험 및 역량 파악 후 본인의 경험과 역량을 정리
 
* 직무분석 및 직무역량 참고사이트
  - 온라인 현직자 직무 토크 콘서트: 청년재단-멘토특강
  - 한국직업방송(유튜브): 고용노동부, 산업인력공단 운영채널
  - NCS(국가직무능력표준)
 
 
4. 긱 워커: 초단기 근로자
  -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며 코로나로 재택근무와 비대면 업무가 확산되ㅏ면서 단기 근로자가 빠르게 증가
  - 긱 워커(Gig Worker)는 장소와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근무하면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MZ세대에서 더욱 증가
  - 구직자들에겐 본인이 원하는 조건의 프로젝트를 자유롭게 선택, 동시에 여러 계약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, 기업에서는 필요에 따라 단기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긱 워커를 선호